바른 동물진료에 대한 생각, 사랑과 정성을 다하는
충남대학교 동물병원 입니다

외과

외과에서는

본 병원의 외과에서는 교수 직접진료를 원칙으로 수술 개입이 필요한 질병의 외과적 치료를 진행합니다. 

크게 일반외과(GS; General Surgery), 정형외과(OS; Orthopedic Surgery), 신경외과(NS; Neurosurgery), 심장혈관흉부외과(CS; Cardiovascular & TS; Thoracic surgery) 이렇게 4개의 주요 분과를 운영하여 전문성을 높이고 있으며, 최신의 첨단 의료장비를 지속적으로 도입하는 등 환자의 완치를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진료분야

심장중격결손증

심장중격결손이란 발생학적인 문제로 심장 내의 구멍들이 완전히 막히지 않고 열려 있는 질환을 일컫습니다. 이 중 가장 대표적인 (1) 심방중격결손증, (2) 심실중격결손증, (3) 방실중격결손증의 심장수술 치료 증례를 아래에 소개드립니다.

심방중격결손증 (Atrial septal defect)

심방중격결손은 왼쪽 심방과 오른쪽 심방 사이에 구멍이 남아있는 질환입니다. 구멍을 통해 왼쪽 심방으로부터 오른쪽 심장으로 통하는 비정상적인 혈류는 심장을 커지게 만들며, 심한 경우 심부전 및 폐고혈압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구멍이 작은 경우는 약물 관리를 권장드리기도 하지만, 폐고혈압의 위험성이 큰 경우 수술적인 교정을 권장드립니다. 자기 심낭막 조직 또는 인공패치를 사용하여 구멍을 막는 수술로써 완치가 가능합니다. 폐고혈압이 심각하게 진행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불가능하므로, 조기 상담 및 정기 검진을 받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심방중격결손 분류 그림

심방중격결손 분류 그림입니다. 결손부의 위치에 따라 결손증의 종류를 나눌 수 있습니다.

치료 예시
11개월, 3.9kg, 수컷, 토이 푸들
심방중격결손증 (폐정맥 부분 환류이상 동반)

심방중격 결손증의 수술 사진입니다. 맨 왼쪽 화살표는 심방중격결손 부위입니다. 중간 사진은 동반된 혈관기형 (폐정맥 환류 이상)을 나타낸 사진입니다. 우측 사진은 자가 심낭막을 이용하여 심방중격결손을 수복하는 모습입니다.

방사선 사진

왼쪽의 수술 전 가슴 방사선 사진에 비해 오른쪽 수술 후 104일차 사진에서 심장 크기가 확연히 줄어든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초음파 사진에서 구멍이 막혔으며, 오른쪽 심장의 크기가 많이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animals case report

심방중격 결손증을 수술적으로 치료한 본 증례에 대하여 본원에서 발표한 논문입니다.

심실중격결손증 (Ventricular septal defect)

심실중격결손은 왼쪽 심실과 오른쪽 심실 사이에 구멍이 남아있는 질환입니다. 구멍을 통해 왼쪽 심실로부터 오른쪽 심장으로 통하는 비정상적인 혈류는 심장을 커지게 만들며, 심한 경우 심부전 및 폐고혈압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구멍이 작은 경우는 약물 관리를 권장드리기도 하지만, 폐고혈압의 위험성이 큰 경우 수술적인 교정을 권장드립니다. 자기 심낭막 조직 또는 인공패치를 사용하여 구멍을 막는 수술로써 완치가 가능합니다. 폐고혈압이 심각하게 진행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불가능하므로, 조기 상담 및 정기 검진을 받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심실중격결손 분류 그림

심실중격결손 분류 그림입니다. 결손부의 위치에 따라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치료 예시
6개월, 6.5kg, 수컷, 꼬통 드 툴레아
심실중격결손증 (막성 중격결손 형태)

심폐체외순환기를 이용한 개심술로 심실중격결손을 교정하는 사진입니다. 우측 사진과 같이 자가 심낭막을 통한 교정이 이루어졌습니다. 자가 심낭막은 비용이 거의 들지 않고 면역 반응에서 자유로운 점 등 장점이 많아 사람에서도 널리 쓰이는 방법입니다.

방사선 사진

왼쪽의 수술 전 가슴 방사선 사진에 비해 오른쪽 수술 후 104일차 사진에서 심장 크기가 확연히 줄어든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수술 후 심실 중격 결손이 교정된 초음파 사진입니다.

방실중격 결손증 (≒심내막 융기 결함, Endocardial cushion defect)

심내막 융기결손은 심방 중격 결손, 심실 중격 결손, 또는 이첨판 및 삼첨판의 중격엽 형성 장애 등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선천성 심장 질환입니다. 결손부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누어지며, 결손부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비교적 심비대와 심부전이 빠르게 진행되는 편입니다. 판막 형성 장애를 수복하고 구멍을 막아주는 수술로써 치료가 가능합니다.

방사선 사진

방실중격 결손 분류 그림입니다. 결손의 정도에 따라 4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치료 예시
2살, 37kg, 수컷, 도베르만
방실중격 결손증 (이첨판막 결손 동반)
초음파 사진

왼쪽 사진의 * 부위는 1차공 심방결손부의 모습입니다. 오른쪽 화살표는 이첨판막의 불완전한 형성으로 열개가 확인되는 모습입니다. 3차원으로 재구성한 입체 초음파 영상은 정확한 진단과 수술 계획에 도움을 줍니다.

수술 사진

왼쪽 사진은 자가 심낭막을 이용하여 결손부위를 교정하는 사진이며, 오른쪽 사진은 이첨판 중격엽의 형성 장애를 교정하는 사진입니다.

수술 사진

왼쪽의 수술 전 가슴 방사선 사진에 비해 오른쪽 수술 후 104일차 사진에서 심장 크기가 줄어든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초음파 영상 사진
  • 초음파 영상 사진

수술 후 615일차에 촬영한 초음파 영상입니다. 수복된 결손부가 잘 유지되고 있습니다

논문

방실중격 결손증을 수술적으로 치료한 본 증례에 대하여 본원에서 발표한 논문입니다.

진료교수 및 진료진

정성목 교수님

정성목 교수님

  • 진 료 과  : 외과
  • 전문분야 : 연부조직 외과, 종양외과
이해범 교수님

이해범 교수님

  • 진 료 과  : 외과
  • 전문분야  : 정형외과, 신경외과, 재활치료
김대현 교수님

김대현 교수님

  • 진 료 과  : 외과
  • 전문분야 : 심장외과, 흉부외과, 혈관외과, 연부조직외과, 종양외과

김대현 교수님

정재민 교수님

  • 진 료 과  : 외과
  • 전문분야 : 정형외과, 신경외과

  • 진료수의사 전영진

    진료수의사 :  전영진

  • 진료수의사 : 이원종

    진료진 :  이원종

  • 진료수의사 : 김우진

    진료진 :  김우진

  • 진료수의사 : 배승표

    진료진 :  배승표

  • 진료수의사 : 윤종필

    진료진 :  윤종필

  • 진료수의사 : 김지윤

    진료진 :  김지윤

  • 진료수의사 : 김희진

    진료진 :  김희진

  • 진료수의사 : 류윤희

    진료진 :  류윤희

  • 진료수의사 : 배호정

    진료진 :  배호정

  • 진료수의사 : 염규현

    진료진 :  염규현

  • 진료수의사 : 이병욱

    진료진 :  이병욱

  • 진료수의사 : 조형현

    진료진 :  조형현

  • 진료수의사 : 최현주

    진료진 :  최현주

  • 진료수의사 : 박지인

    진료진 :  박지인

  • 진료수의사 : 남중현

    진료진 :  남중현

  • 진료수의사 : 류연주

    진료진 :  류연주

  • 진료수의사 : 오준영

    진료진 :  오준영

  • 진료수의사 : 성정현

    진료진 :  성정현

  • 진료수의사 : 김영진

    진료진 :  김영진

  • 진료수의사 : 주다빈

    진료진 :  주다빈